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고혈압약 한번 먹으면 평생? 그렇다고 안먹어요?

by 마켓의 정석 2022. 12. 2.
반응형

서구화된 식습관으로 성인병 질환자 증가



위와 같은 문구 한 번쯤 들어보셨을 겁니다. 성인병 질환 중 가장 대표적인 병이 바로 고혈압입니다. 그리고 실제 우리나라의 고혈압 환자 비율은 꽤 높은 편입니다. 성인 3명 중 1명이 고혈압 질환자이고 본인이 고혈압인 줄 모르고 있는 사람들까지 생각해보면 결코 적지 않은 숫자입니다. 

 

우리나라는 고령화 속도가 매우 빠릅니다. 그만큼 고혈압 환자도 계속해서 늘어나고 있어요. 당장 눈에 보일만큼 아프지 않아 고혈압을 가볍게 생각하는 사람들도 많은데 고혈압이 원인이 되는 질환이 한두가지가 아니라는 점에서 반드시 진료받고 관리를 해야 합니다.

 

특히 그런 이야기가 있어요. 고혈압약을 한번 먹으면 평생 먹어야 하니깐 먹지 말라는 이야기. 과연 진실은 무엇일까요.

 


 

고혈압약 먹어야 하는 기준
집에 혈압측정기 하나쯤 있죠? 혈압 측정은 그리 어렵지 않기 때문에 쉽게 내 혈압을 알 수가 있어요. 그런데 어느 정도 돼야 혈압약을 먹어야 할지 헷갈리죠. 우선 혈압 수치가 130 정도 나오면 조금 위험하다고 생각하셔야 합니다. 요 단계에서 식단 관리, 운동을 하면 정상 수치로 관리할 수 있어요. 

 

그런데 140 정도 된다면? 혼자 판단하지 마시고 지체 없이 병원에서 진료를 받고 의사와 상의 후 약을 처방받아야 합니다. 정리하자면 120이 넘어가면 관리하시면서 140이 넘어가면 반드시 병원 진료가 필요하다는 점 기억하세요.

 


 

고혈압은 관리가 중요
고혈압이 원인 된 질환이 많다고 했죠. 그중 심장과 신장은 고혈압이 직접적인 영향을 줍니다. 혈압이 높으면 우리 혈관은 부담을 느낍니다. 그 결과 심장에 무리를 주죠. 그 결과 심장벽이 두꺼워지고 이는 심부전증으로 이어지죠. 가볍게 생각한 고혈압이 생명을 앗아갈 수 있는 질환까지 발전합니다.

 

신장에도 무리가 갑니다. 고혈압인데 약물치료 없이 오랜 시간 고혈압을 유지하면 신장에 손상을 주죠. 신부전이 발생하고 악화되면 신장기능이 떨어져 나중에 신장이식 외 방법이 없습니다.

 

 

고혈압약 평생 먹어야 할까
이 의견은 전문의 사이에서도 분분합니다. 답은 '아니오'입니다. 하지만 그런 케이스는 매우 적습니다. 10명 중 1명 정도의 환자만 약을 끊어도 정상혈압을 유지합니다. 비율로는 90% 이상의 환자는 고혈압약을 복용하면 평생 먹어야 한다는 이야기죠. 

 

그렇다고 본인이 고혈압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안 먹는 것은 매우 미련한 짓입니다. 혈압을 조절하기 위해서는 식습관도 조절해야 하고 규칙적인 운동. 특히 음주는 줄여야 혈압을 조절할 수 있습니다.

 


 

혈압약을 평생 먹어야 한다는 두려움 때문에 혈압약을 꺼려하시거나 그럴 필요 없습니다. 오히려 빨리 관리를 시작하면 나중에 나이가 들어도 성인병으로부터 조금 자유로울 수 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