살림팁

막힌 하수구 뚫는법 / 싱크대 뚫는 법 / 세면대 뚫는법

마켓의 정석 2021. 1. 27. 08:00
반응형

막힌 세면대 뚫는법 

막힌 세면대를 뚫는 건 비교적 쉽습니다. 막힘의 원인이 단조롭기 때문입니다.

보통은 머리카락이 쌓여 배수가 잘 안 되는 게 일반적인 이유입니다.

이런 경우 머리카락만 간단하게 제거해주면 배수가 잘 됩니다.

 

 

 

 

막힌 세면대 뚫기 1) 세면대 뒷면에 있는 배관을 빼서 이물질을 제거한다.

가정집 세면대 뒷면에 있는 배관은 끼고 연결하기 쉬운 구조로 되어있습니다.

배관 중간을 잡고 아래로 내리면 위의 철 부분과 아래의 주름진 배관이 쉽게 분리될 것입니다.

아마 열면 머리카락과 이물질이 가득 있을 텐데요. 깨끗하게 제거해주시면 됩니다.

 

속시원하게 물이 내려가게 하려면 아무래도 약품보다는 물리적으로 머리카락들을 빼주는 게 좋습니다.

시중에 판매하는 배수구 클리너들은 절대 머리카락을 녹이지 못하기 때문입니다. 엉켜있는 머리카락들을 마법처럼 풀어주지도 못합니다.

 

 

 

 

막힌 세면대 뚫기 2) 배수구클리너, 하수구클리너 등을 사용한다.

앞서 약품은 머리카락을 녹이지 못한다고 말씀드렸는데요. 그럼에도 불구하고 약품을 써야할 때가 있습니다. 

바로 세면대 뒷면이 벽과 연결되어 있는 경우, 배관을 열었는데 쌓인 이물질이 없는 경우입니다.

 

세면대 뒷면이 벽과 연결되어 있으면 1번과 같은 물리적인 머리카락 제거는 불가능합니다.

이럴 때 약품을 쓰면 머리카락을 녹이지는 못해도 머리카락 사이에 촘촘히 박힌 물때들을 제거할 수는 있습니다.

그럼 물이 속시원하게 내려가진 못해도, 머리카락 사이사이 뚫린 구멍으로 물이 빠져나갈 수는 있겠죠?

일시적인 효과이기 때문에 금방 배관이 다시 막힌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그래도 업체를 부르는 것보다 싸기 때문에 이런 경우 2주에 한번씩 클리너를 사용하는 걸 권장 드립니다.

 

배관을 열었는데 쌓인 머리카락이나 이물질이 없다면 해결이 무척 어렵습니다. 일반 가정집에서는 해결할 수 없는 곳에 문제가 생겼다는 의미이기 때문입니다.

 

배관 깊은 곳에 이물질이 쌓였거나 설계 자체의 문제일 수 있습니다.

우선은 클리너를 사용해보시고 그럼에도 불구하고 배수가 안 된다면 업체를 부르는 게 좋습니다.

 

 


막힌 싱크대 뚫는법

싱크대가 막히는 원인은 너무 다양합니다.

음식물찌꺼기가 쌓여있을 수도 있고 기름이 덩어리져 막힐 수도 있습니다.

혹은 배관 구조의 문제, 다른 집의 문제일지도 모르고요.

 

안타깝게도 가정집에서 싱크대를 뚫기 위해 해볼 수 있는 방법은 몇가지 없습니다.

 

 

막힌 싱크대 뚫는법 1) 배수구크리너 같은 약품 사용

싱크대는 세면대와 달리 가정에서 배관을 분리하기 쉽지 않습니다. 그리고 보통은 싱크대 바로 밑 문제가 아니기 때문에 여기를 열어도 큰 소득은 얻지 못할 겁니다.

약품을 사용하고 따듯한 물은 부으면 어느정도 뭉쳐있던 이물질과 기름 덩어리들을 잘게 흩어지게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이때 주의해야할 것이 너무 뜨거운 물을 부으면 안 됩니다. 배관이 휘어지는 경우도 있다는 업자의 견해를 들었습니다. 그럼 더 큰 공사를 해야할지도 모릅니다.

 

 

 

막힌 싱크대 뚫는법 2) 뚫어뻥을 싱크대에 해보기

마치 변기 뚫는법처럼 뚫어뻥을 물이 가득찬 상태의 싱크대에 사용하는 겁니다. 물이 강하게 들어갔다 나왔다를 반복하면서 안에 쌓인 이물질들이 밖으로 나오는 걸 볼 수 있을 것입니다. 

반복하다보면 운이 좋아 안에 쌓인 이물질들을 쪼갤 수 있을 것입니다.

 

 

 

 

싱크대가 막히는 원인은 배관 구조의 문제, 다른 집의 문제, 기름덩어리의 문제 등이 있습니다.

구조와 다른집 문제는 우리가 해결할수도 방지할수도 없지만 기름덩어리가 만들어지지 않도록 노력할 수는 있습니다.

다량의 고기 기름이 발생했을 때 무조건 휴지나 키친타올로 제거하고 설거지를 하시길 바랍니다.

 

 


가장 편리하고 정확한 방법은 배수구 업체를 부르는 것입니다. 그러나 비용적으로 부담이 되기 때문에 가정에서 할 수 있는 방법들을 모두 먼저 해보시는 걸 추천드립니다.

 

 

 

 

 

 

반응형